광견병 무료접종
매년 광견병 예방접종을 꾸준히 하고 있으신가요? 뭔가 중요한 접종인 것 같긴 한데... 주변에서 실제 발병 사례는 본 적도 들은 적도 없어서, 광견병이 먼 나라 이야기처럼 느껴지는 것 같습니다.
1. 발생현황
광견병(가축)은 우리나라에서 1984년에 소에서 발생했던 것을 마지막으로 1992년까지 발생이 없다가 1993년 강원도 철원지역에서 사육견이 야생너구리와 접촉하는 과정에서 감염된 이래 휴전선 인접지역을 중심으로 해마다 소, 개, 야생동물(너구리)에서 발생이 지속되고 있는 실정입니다.
2. 국내발생지역
1993년 이후 최근까지 주요발생지역은 경기도의 경우 고양시, 파주시, 동두천시, 연천군, 포천군, 양주군, 가평군 등이고 강원도의 경우 속초시, 철원군, 양양군, 화천군, 양구군, 인제군,고성군 등 입니다.
- 농림축산검역본부, https://www.qia.go.kr/animal/prevent/ani_rabies_reg.jsp
위 자료를 보시면 알 수 있듯이, 우리나라는 아직 광견병 청정구역이 아닙니다. 하지만, 2013년 6건의 발생 이후로 5년째 보고가 되고 있지 않습니다. 1
이처럼 흔히 발생하는 병은 아니지만 예방접종을 하는 것이 권장되는 이유는 바로 거의 100%에 달하는 치사율 때문이라고 합니다. 걸리는 바로 죽음에 이를 수 있는 병이라니, 흔하게 들어본 것치고는 정말 무서운 병이라고 말할 수 있는데요.
또한, 세계보건기구(WHO)와 세계동물보건기구(OIE)에 따르면, 매년 약 5~6만명의 사람들이 광견병으로 사망하고 있다고 합니다.
주변에서 경험하지 못한 것이다보니, 제가 그랬듯이 여러분도 가볍게 생각해오셨을 수도 있을텐데요.
광견병 무료접종 관련 정보는 물론, 광견병에 대한 전반적인 사항을 말씀드리겠습니다. 저와 같이 경각심을 가지게 되는 계기가 되었으면 합니다.
1. 광견병이란
광견병은 사람을 포함한 포유류 동물의 뇌에 염증을 유발하는 바이러스 질병입니다. 2
일반적으로 동물에게 물려서 전염되는 질병입니다. 사람이 이에 감염되었을 때, 중추신경계에 이상이 생겨 물을 무서워한다고 하여 공수병이라고도 알려져 있습니다.
타액과 피로 전염되며, 병에 걸린 개와 고양이한테 물리는 것이 주 감염 원인이나 스컹크나 박쥐 등을 비롯한 거의 모든 포유류에 의해서 감염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반려동물은 광견병 예방 접종을 해야 사람에게 병이 감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를 비롯한 대부분의 국가는 반려동물에 대해 광견병 예방접종을 강제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는 가축전염예방법 제5조에서 이를 강제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3
제5조(가축의 소유자등의 방역 및 검역 의무) ① 가축의 소유자 또는 관리자(이하 "소유자등"이라 한다)는 축사와 그 주변을 청결히 하고 주기적으로 소독하여 가축전염병이 발생하는 것을 예방하여야 하며,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의 가축방역대책에 적극 협조하여야 한다.
- 국가법령정보센터,
http://www.law.go.kr/%EB%B2%95%EB%A0%B9/%EA%B0%80%EC%B6%95%EC%A0%84%EC%97%BC%EB%B3%91%EC%98%88%EB%B0%A9%EB%B2%95
2. 광견병 백신
광견병에 감염된 동물에 물렸을 때, 상처를 소독한 후에 그 부위에 항체 주사를 맞게 됩니다. 흔히 백신은 감염 및 전염이 발생하기 전에 맞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하지만, 보통 광견병은 물린 후 증상이 나타나기까지의 잠복기간이 길기 때문에, 사후에 백신을 맞아도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4
광견병에 걸린 동물이 물었다면, 두 가지 종류의 백신을 투여하게 됩니다. 수동 면역법과 능동 면역법 5이 그것입니다. 6
수동 면역
HRIG(Human Hyperimmune Rabies Immunoglobulin)을 체중 Kg당 20단위를 주사하는데, 반은 물린 부위에, 반은 근육 내에 주사합니다.능동 면역
10일 안에 사람을 문 개에게서 광견병이 나타나거나, 개가 광견병에 걸린 것으로 의심되거나, 개를 찾을 수 없는 경우에는 능동 면역을 시행합니다. 능동 면역은 HDCV 백신(Human Diploid Cell Vaccine) 1ml를 제1, 3, 7, 14, 28일에 근육 주사합니다. 광견병 예방 조치를 제대로 취하지 않거나 적절한 시기에 조치를 받지 않는다면 치명적일 수 있습니다. HDCV 백신(Human Diploid Cell Vaccine) 능동 면역에 알레르기가 있으면 미리 의사에게 알려야 합니다. 임신부나 소아도 접종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부신피질호르몬제나 항암제, 항말라리아약과 병용해서는 안 됩니다.
- 서울아산병원 질환백과, http://m.amc.seoul.kr/asan/mobile/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1609&diseaseKindId=C000015
하지만 안타깝게도 백신을 맞았으나 광견병에 걸려 사망한 경우도 존재합니다.
<대한민국에서 광견병 백신을 맞았지만 광견병에 걸린 사례>
2003년 2월 8일 포천시에서 60대 남성이 걸림.
잠복기: 21일. 물린 부위: 눈 부위.
치료 여부: 서울대 병원에서 광견병 백신 투약을 비롯해 1주일 동안 치료함. 그러나 2주일 후 증상이 발현되어 다시 병원에 입원.
생사 여부: 사망
이와 같이, 내 사랑스러운 반려동물이 누군가를 죽음에 이르게 할 수 있는 일을 피하기 위해서는 미리미리 접종을 하는 것이 필수적이겠죠?
3. 광견병 무료접종
가축전염예방법에 명시되어 있듯이, 생후 3개월 이상의 개를 키우는 견주는 반드시 1년에 한 번씩 광견병 예방접종을 해야 합니다.
4월~5월과 10월~11월의 연 2회 시기에, 국가에서 광견병 예방접종 비용을 지원하기에 이 시기에 맞춰 무료접종을 진행한다면 금액 부담도 덜고, 광견병에 대한 걱정도 덜 수 있겠죠!
광견병 무료접종은 지방자치단체에서 그 기간을 설정하여 실시하기에, 상세한 날짜는 거주하시는 곳의 행정복지센터(동사무소)에 문의하시면 안내받으실 수 있으며, 공수의사가 행정복지센터나 민원센터를 순회하면서 무료로 진행합니다.
접종 날짜 및 시간은 시의 홈페이지 공시공고 게시판을 참고하거나 해당 지역 행정복지센터(동사무소)에 문의하시면 안내받을 수 있습니다!
동물등록증과 인식표를 지참해서 접종 날짜와 시간에 맞추어 지정 장소를 방문하시면 무료로 시행 가능합니다. 다만, 지방자치단체마다 그 내용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꼭 문의 후에 방문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