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코로나 증상 순서

by ♬♩♪ 2021. 1. 18.

코로나 증상 순서

코로나 증상 순서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사회 안에서 계속 전파되면서 다들 걱정이 많으실텐데요. 특히나 요즘처럼 일교차가 큰 날씨에는 감기나 독감 환자들도 늘어나면서, 알게 모르게 코로나19에 감염된 것인지 단순한 감기에 걸린 것일뿐인지 헷갈리기 쉽습니다.

 

코로나 증상 순서와 증상이 나타났을 때 대처하는 방법에 대해 상세히 알려드리겠습니다.

 

 

코로나 증상 순서
호흡기 질환 증상 순서

 

코로나 증상 순서에 대해서는 전문가마다 의견이 다르고, 논쟁의 여지가 있으나 일반적인 코로나 증상 순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모든 이의 코로나 증상 순서가 반드시 다음과 같이 나타난다는 것은 아닙니다.

 

 

1. 발열

 

2. 기침

 

3. 목아픔(인후통)과 두통, 근육통

 

4. 구역감(속 미식거림)과 구토

 

5. 복통, 설사

 

 

'프론티어스 인 퍼블릭 헬스' 학술지의 한 연구에 따르면, 감기나 독감 감염 시에는 기침으로 시작해 발열로 이어졌습니다. 메르스와 사스의 초기 증상은 코로나19와 비슷했으나, 감염된 대다수가 구역감과 구토보다는 설사 증상이 먼저 나타났다고 합니다.

 

어지러움, 콧물 등과 같은 그 외 증상이 나타난다고 해도, 상당 수의 코로나 증상 순서 네 가지는 명확했다고 합니다.  바로 '발열 ▶ 기침 ▶ 목아픔(인후통), 두통, 근육통 ▶ 구역감(속 미식거림)과 구토'의 코로나 증상 순서입니다.

 

 

한편, 통상적으로 감기나 독감'기침 ▶ 목아픔(인후통), 두통, 근육통 ▶ 발열 ▶ 설사나 구역감, 구토'의 순서로 발열 증상이 비교적 뒤늦게 나타난다고 합니다.

 

앞서 말씀드린 것처럼, 코로나 증상 순서가 반드시 위와 같은 순서로 증상이 발현되는 것은 아니지만 통계적으로 봤을 때 의미가 있는 순서라고 볼 수 있습니다.

 

다만, 개개인마다 발현되는 증상과 그 순서는 달라질 수 있습니다. 일반적인 코로나 증상 순서를 알아두시고, 코로나19로 의심되는 증상이 복합적으로 나타나고 1주 이상 지속된다면 선별 검사 받으시는 것을 권장드립니다.

 

 

현재까지 나타난 코로나19 바이러스 감염 증상은 다음과 같았습니다. 

 

몸살 증상: 근육통, 두통, 발열과 오한, 피로감 등

 

호흡기 증상: 기침, 목아픔(인후통), 콧물, 호흡곤란, 가슴 통증 등

 

소화기 증상: 속 미식거림(구역감), 구토, 설사 등

 

신경 증상: 맛을 잘 못 느낌(미각 둔화), 냄새를 잘 못 맡음(후각 둔화) 등

 

 

그렇다면, 비교적 쉽게 걸리는 감기나 독감과 코로나를 구분할 수는 없을까요? 

 

코로나 증상과 감기, 독감과의 차이점

 

일반적으로 감기와 독감, 코로나19모두 발열과 기침, 가래, 목아픔 등의 호흡기 증상이 나타나기 때문에 구분하기 쉽지 않습니다. 다만, 코로나 증상을 의심하거나 짐작할 수 있는 것만으로 초기에 조치를 취할 수 있어 알아두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우선 말씀드린 것과 같이, 증상이 나타나는 순서로 어림잡아 짐작할 수 있습니다. 감기는 가장 먼저 목에 간지러움이 느껴지고, 그 후에 콧물이나 기침 등과 함께 미열 증상이 나타나는 것이 보통입니다.



독감은 처음에 기침과 근육통 증상이 나타나고, 이후 두통과 인후통, 콧물 흐름, 발열, 설사, 구토 등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코로나 발열 증상이 가장 먼저 나타나고 그 다음으로 기침과 인후통, 근육통, 구토, 설사 등이 차례로 혹은 동시다발적으로 나타나게 됩니다.

 

또한, 감기는 코와 입, 목 등의 상부 호흡기관에서 증상이 비롯됩니다. 콧물과 재채기, 기침 등이죠. 보통 2~3일 이내로 증상이 사라지며, 자연스럽게 회복됩니다.

 

독감은 체온이 갑자기 치솟거나 근육통이 심하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보통 증상이 1주 이상 지속됩니다. 이 때문에, 2주 이상 증상이 지속되는 코로나와 구분이 상당히 어렵습니다.

 

코로나만의 특징으로는, 미각이나 후각이 둔해져서 맛이나 냄새를 잘 느끼지 못한다는 것이 있습니다. 또한, 폐를 비롯한 하부 호흡기관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호흡곤란 증상도 있습니다.

 

그 외에도, 기침을 할 때 끈적하고 노란 가래나 피가 섞인 가래가 나온다면 코로나를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그러면, 코로나 증상이 의심될 때는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요?

 

코로나 증상이 의심될 때 대처 방법

큰 증상은 없지만, 막연한 불안감에 곧바로 병원을 향하고 싶은 마음이 굴뚝같을 겁니다. 하지만 단순히 코로나19 바이러스 감염으로 의심되는 증상이 있다고 해서, 선별진료소를 바로 방문해서는 안 됩니다. 

 

지역사회 내 의료진 인원들은 한정되어 있습니다. 그 때문에, 불안해서 진료소를 찾아온 이들을 검사하느라고 정작 초기에 선별해야 할 감염자를 놓칠 가능성이 생길 수 있습니다.

 

또한 확진자로 판정받지 않는다고 해도, 선별진료소를 방문하는 동안 오히려 확진자들로부터 코로나 바이러스에 감염되는 '역감염'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우선 시간을 두고 증상을 따져보면서, 경과를 지켜봐야 합니다.

 

발열이나 근육통과 같은 몸살감기 증상이 나타난다면, 2일 정도는 사람들과의 접촉을 피하고 자가격리를 하며 상황을 지켜봐야 합니다.

 

앞서 말씀드린 것처럼, 감기는 2~3일 정도면 증상이 개선되는 것이 보통입니다. 그래서 과거 감기에 걸렸을 때와 비교해서 유사한 증상을 보인다면, 감기약을 복용하고 하루 이틀 정도는 경과를 지켜봐야 합니다.

 

 

만약 증상이 나아지지 않았다면, 몸에 나타나는 증상을 자세히 살펴보아야 합니다. 위에서 말씀드린 코로나19만의 특징적인 증상이 나타난다면, 폐렴 증상이므로 코로나19 선별진료를 받아야 합니다.

 

다만, 이 때에도 바로 의료기관을 찾아가서는 안 됩니다. 진료 후 확진자로 판명이 나면, 집단감염의 위험 때문에 방문했던 의료기관이 폐쇄됩니다. 따라서 코로나19 증상이 의심된다면, 보건소나 1399, 120콜센터 등에 먼저 신고해야 합니다.

 

검사를 받을 병원이나 보건소를 안내받고 나서, 선별진료소에서 의료진이 증상을 확인하고 정밀검사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비로소 검사를 받게 되는 것입니다. 

 

의료기관을 방문할 때에도, 마스크를 착용하고 병원 내 난간이나 손잡이 등을 잡지 말아야 합니다.

댓글